충북 청주를 중심으로 구제역이 발생했습니다. 구제역 발생 농장 인근엔 수백 곳의 한우 농가가 있고, 타 지역인 증평에서도 구제역이 발생했는데요. ‘구제역 청정국’ 지위 회복을 목표하던 우리 당국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오늘 톡톡 뉴스와 상식에서 이 소식, 자세히 알아봅니다.
구제역 청정국 지위는 구제역이 전혀 발생한 적이 없는 ‘백신 미접종 청정국’과, 구제역이 발생했지만 백신을 맞아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 ‘백신 접종 청정국’, 이렇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우리나라는 구제역 사태 이후 2014년 ‘백신 접종 구제역 청정국’ 지위를 획득했지만, 지위 획득 두 달 만에 구제역이 다시 발생하며 이를 상실했고, 이후 산발적인 발병이 이어지다, 2019년 1월 이후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우리나라는 지난해 9월 구제역 청정국 지위 회복 신청서를 제출했고, 이 결과가 이달 말 열리는 제90차 세계동물보건기구 총회에서 나올 예정이었는데요. 하지만 직전에 구제역이 발생하면서, 청정국 지위 회복은 사실상 어려워졌습니다.
문제는 수출입니다. 앞서 농식품부는 청정국 지위 회복으로 한우 수출량을 큰 폭으로 늘리겠다는 계획을 밝혔지만, 이에 차질이 생긴 겁니다.
톡톡 뉴스와 상식, 오늘은 ‘백신 접종 구제역 청정국’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지금까지 아나운서 김영민이었습니다.
英语
日语
法语
德语
西班牙语
意大利语
阿拉伯语
葡萄牙语
越南语
俄语
芬兰语
泰语
丹麦语
对外汉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