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은이라 분주히 오가는 게 걱정스러웠는데, 율부(率府)의 일은 그런대로 한가롭지.
술 즐기려면 적은 녹봉이나마 꼭 있어야 하고, 거리낌없이 노래하려면 이 조정에 기댈 수밖에.
고향으로 돌아갈 꿈 사그라진 지금, 고개 돌려 광풍을 마주하네.
(不作河西尉, 凄凉爲折腰. 老夫怕趨走, 率府且逍遙. 耽酒須微祿, 狂歌托聖朝. 故山歸興盡, 回首向風飇.)
―‘관직을 정한 후 재미 삼아 보내다(관정후희증·官定後戱贈)’두보(杜甫·712∼770)
관직을 향한 두보의 집념은 절박했다. 두 차례 과거에 실패한 후 현종에게 자신의 재능을 어필하는 문장을 세 차례나 올렸고, 그마저도 여의치 않자 세도가나 그 측근에게 자신을 천거하는 시를 줄기차게 보냈다. 자기 재능을 과시함과 동시에 상대를 치켜세우는 칭송 위주로 내용을 채우려다 보니 한량없이 긴 장시가 되기 일쑤였다. 무수히 올린 자천(自薦)의 시가 주효했던지 마침내 좌상 위견소(韋見素)가 그를 하서 현위(縣尉)로 천거했다.
하나 시인은 이를 거절하고 대신 율부의 주조참군(冑曹参军) 자리를 받아들였다. 왜 그랬을까. 현위는 상관 접대하느라 굽신거려야 하고 늙은 몸으로 일선에서 바삐 움직여야 하는 데 비해 주조참군은 무기고나 관아 출입문을 관리하는, ‘그런대로 한가로운’ 직책이었기 때문이다. 당시 그의 나이 마흔넷. 늙음을 내세운 건 아무래도 억지 구실인 듯하다. 백면서생의 물정 모르는 트집 같기도 하고, 요직을 얻을까 하는 높은 기대치에 대한 실망감인 듯도 싶다. 시제에 ‘재미 삼아 보내다’라고 한 건 바로 이런 복합적인 심사를 자조적으로 내뱉은 반어가 아닌가 싶다. 이런 울적함을 달래기 위해서였을까. 자학이라도 하듯 시인은 지금 광풍에 자신을 내맡기고 있다
英语
日语
法语
德语
西班牙语
意大利语
阿拉伯语
葡萄牙语
越南语
俄语
芬兰语
泰语
丹麦语
对外汉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