以 : 써 이, 心 : 마음 심, 傳 : 전할 전, 心 : 마음 심
풀이
말이나 글로 전하지 않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뜻이 통한다는 말이다.
유래
송(宋)나라 때 스님 보제(普濟)가 쓴 『오등회원(五燈會元)』 속에 나오는 이야기다.
석가가 어느 날 여러 제자들을 영산(靈山)에 불러 모았다. 그런 다음 모두들 보는 앞에서 손가락으로 연꽃 한 송이를 집어 들고는 약간 비틀어 보였다. 그러면서도 아무 말도 하지 않았으므로, 제자들은 그것이 무슨 의미인지 몰랐다. 다만 한 사람 가섭(迦葉)만은 ‘이심전심’으로 그 뜻을 알아차리고 싱긋 웃었다. 석가는 가섭을 보고 말했다.
“나에게는 정법안장(正法眼藏), 열반묘심(涅槃妙心), 실상무상(實相無相), 미묘법문(微妙法門), 그리고 불립문자 교외별전(不立文字 敎外別傳)이 있느니라. 이것을 다 너에게 전하마.”
여기서 말하는 ‘정법안장’이란 사람이 원래 갖추고 있는 매우 뛰어난 마음의 덕을 말하고, ‘열반묘심’은 번뇌를 벗어나서 진리에 도달하는 마음을 말하며, ‘실상무상’은 영원히 변하지 않는 진리를, ‘미묘법문’은 그 진리를 아는 마음을 뜻하고, ‘불립문자 교외별전’은 ‘어떤 언어나 문자에 의하지 않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통해 전하는’ 오묘한 뜻을 말한다.
英语
日语
法语
德语
西班牙语
意大利语
阿拉伯语
葡萄牙语
越南语
俄语
芬兰语
泰语
丹麦语
对外汉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