路人借问遥招手,怕得鱼惊不应人。

낚시질 배운 더벅머리 아이, 삐딱하게 이끼 위에 앉으니 풀이 몸을 가린다.
 
 
 
 
 

낚시질 배운 더벅머리 아이, 삐딱하게 이끼 위에 앉으니 풀이 몸을 가린다.
행인이 길 물어도 멀찍이서 손만 내저을 뿐, 물고기 놀랠까봐 대꾸조차 않는다.
(蓬頭稚子學垂綸, 側坐매苔草映身. 路人借問遙招手, 파得魚驚不應人.)
― ‘낚시하는 아이(小兒垂釣·소아수조)’ 호령능(胡令能·785∼826)
낚시질에 몰두한 조마조마하고 진지한 동심이 깜찍하다. 이제 막 낚시를 배운 터라 이끼 낀 습지 위에 삐딱하게 앉은 자세부터가 불편하고 불안하다. 낚시에 집중하느라 그런 불편 따위는 깡그리 잊었나 보다. 몸을 가릴 만큼 잡초 덤불이 무성하니 인적 드문 한적한 곳을 제대로 고른 성싶다. 고기도 놀래지 않고 저 자신도 동그마니 떨어져 낚시를 즐길 수 있는 최적의 공간이었을 것이다. 한데 갑자기 한 행인이 정적을 깨고 아이에게 길을 묻는다. 세상에, 행인의 말소리에 초보 낚시꾼은 마른하늘에 날벼락이라도 떨어진 양 화들짝 놀라며 황급히 휘휘 손을 내젓는다. 쉿! 제발 조용히 해주세요. 행인의 입도 막고 고기도 흩어지지 않게 하려는 이 귀여운 손짓에 행인은 빙긋 웃음을 머금었을 것이다. 아득히 멀어져 간 지난날의 낯설지 않은 기억을 떠올리면서.
한시 속 아이들은 대개 목동이나 초동(樵童) 아니면 농사를 돕는 모습으로 등장하는데 이 아이가 즐기는 유희는 좀 특별나다. 그래서인가. 순진한 듯 단호한 아이의 행동을 익살스레 바라본 시인의 눈길이 별스레 포근해 보인다. 백거이도 낚시질하는 아이를 포착한 시를 남겼는데, ‘연못가 한가로이 산책하며 물고기 구경하다, 마침 배 위에서 낚시하는 아이를 만났네. 똑같이 고기를 사랑해도 생각은 서로 달라, 나는 먹이를 주고 넌 낚시질을 하는구나’(‘물고기 구경’)라 했다. 엄숙하고 근엄한 분위기가 물씬한 게 호령능의 경우와는 대조적이다.
 英语
英语 日语
日语 法语
法语 德语
德语 西班牙语
西班牙语 意大利语
意大利语 阿拉伯语
阿拉伯语 葡萄牙语
葡萄牙语 越南语
越南语 俄语
俄语 芬兰语
芬兰语 泰语
泰语 丹麦语
丹麦语 对外汉语
对外汉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