战袍经手作,知落阿谁边。
蓄意多添线,含情更著绵。
今生已过也,结取后生缘。

변방 전쟁터로 나간 병사, 추위와 고달픔에 잠인들 잘 이룰까.
 
 
 
 
 
 
 
 
 
 

변방 전쟁터로 나간 병사, 추위와 고달픔에 잠인들 잘 이룰까.
내 손수 지은 이 전투복, 그 누구 수중에 떨어질는지.
신경 써서 한 땀 더 바느질하고, 정성 담아 한 겹 더 솜을 댄다.
이번 생애야 도리없이 지나가지만, 다음 생엔 인연이 맺어지기를.
(沙場征戍客, 寒苦若爲眠. 戰袍經手作, 知落阿誰邊. 畜意多添線, 含情更着綿. 今生已過也, 重結後身緣.)
사장정수객, 한고약위면. 전포경수작, 지락아수변. 축의다첨선, 함정갱착면. 금생이과야, 중결후신연.
- ‘전투복에 담은 시(포중시·袍中詩)’ 당대 궁녀
변방을 지키는 어느 병사의 손에 들어온 솜옷, 당 현종(玄宗)이 궁녀들을 시켜 만들어 보낸 위문품이었다. 옷 속에서 정체 모를 글귀를 발견한 병사는 어리둥절했다. 무슨 특별한 사연을 적은 것일까, 아니면 누군가가 장난조로 신세타령이라도 한 것일까. 시인지 낙서인지도 모른 채 병사는 곧바로 장수에게 보고했다. 시의를 제대로 깨쳤다면 그 애틋한 마음을 간직하며 한결 따스한 겨울나기를 했으련만, 병사는 이 낯선 문자가 더럭 겁이 났던 모양이다. 이를 받아든 장수 역시 무심하기는 마찬가지여서 다시 황제에게 올린다. 황제가 궁녀들에게 시를 내보이며 죄를 묻지 않을 테니 누가 지었는지 말하라고 했다. 한 땀 한 땀의 바느질과 겹겹의 솜뭉치 사이로 스몄을 젊은 궁녀의 정성이 갸륵했을 테고, 구중궁궐에 갇혀 청춘을 사르며 이생을 포기하고 다음 생애를 기약하는 처지가 측은했을 것이다. 궁녀가 앞으로 나서자 황제는 병사와 금생의 인연을 맺어주었다.
두 사람의 운명을 하루아침에 바꿔놓은 시 한 수. 궁녀로서는 억눌린 절망감을 분출하려 한 통로였지만 결국 병사의 무심 혹은 무지로 말미암아 행운의 중매자로 바뀌었다. 몸과 마음을 쏟아부은 시 한 수와 옷 한 벌이 맺어준 인연, 그것은 무수한 궁녀들이 겪었을 비극 속에서 피어난 가슴 먹먹한 ‘요행’이었다.
 英语
英语 日语
日语 法语
法语 德语
德语 西班牙语
西班牙语 意大利语
意大利语 阿拉伯语
阿拉伯语 葡萄牙语
葡萄牙语 越南语
越南语 俄语
俄语 芬兰语
芬兰语 泰语
泰语 丹麦语
丹麦语 对外汉语
对外汉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