作者:苏轼
薄薄酒,胜茶汤;觕觕布,胜无裳。丑妻恶妾胜空房。五更待漏靴满霜,不如三伏日高睡足北窗凉。珠襦玉柙万人祖送归北邙,不如悬鹑百结独坐负朝阳。生前富贵,死后文章,百年瞬息万世忙,夷齐盗跖俱亡羊,不如眼前一醉是非忧乐两都忘。

맛없는 술이라도 끓인 차보다 낫고, 거친 베옷이라도 없는 것보다 나으며, 못생긴 마누라, 못된 첩도 독수공방보단 낫지.
꼭두새벽 입궐 기다리며 신발에 서리 잔뜩 묻히느니, 삼복날 해 높이 솟도록 시원한 북쪽 창 아래 푹 자는 게 낫지.
화려한 의식으로 만인의 호송 받으며 북망산으로 가느니, 남루한 누더기 걸치고 홀로 앉아 아침 햇살 쬐는 게 낫지.
생전엔 부귀 누리고 죽어선 문장 남기려 하지만 백년도 한순간이요, 만년도 바삐 지나는 것을.
충절의 백이숙제(伯夷叔齊)든 대도 도척(盜척)이든 실패한 건 매한가지니, 차라리 지금 술에 취해 시비나 애환 다 잊는 게 낫지.
(薄薄酒, 勝茶湯, 麤麤布, 勝無裳, 醜妻惡妾勝空房. 五更待漏靴滿霜, 不如三伏日高睡足北窓凉. 珠襦玉柙萬人相送歸北邙, 不如懸鶉百結獨坐負朝陽. 生前富貴, 死後文章, 百年瞬息萬世忙. 夷齊盜跖俱亡羊, 不如眼前一醉是非憂樂兩都忘.)
―‘맛없는 술(박박주·薄薄酒)’ 소식(蘇軾·1037∼1101)
한 가난뱅이 선비가 ‘맛없는 술도 차보다 낫고, 못생긴 마누라도 독수공방보다는 낫다’고 떠들어댄 모양이다. 이 말에 시인은 저속하긴 해도 통달에 가까운 경지라며 시의(詩意)를 보충하고 나섰다. 그래도 비유가 점잖지 못하다 싶었던지 시 앞에 우스개 삼아 지었다는 주를 달았다. 술과 차, 벼슬살이와 은거 등 세간의 통념을 뒤집는 시인의 발상은 일체의 속박에서 벗어나 절대 자유를 지향했던 장자(莊子)와 닮아 있다. 도연명처럼 시인은 장자에 심취했고 삶과 시에 그 사상을 녹여냈다. 다만 관직 대신 전원을 택한 도연명과 달리 소식은 격심한 부침을 겪으면서도 관직은 고수했다. 장자와 도연명을 흠모하되 상상 속 은퇴만으로 자신을 달랜 것이다.
 英语
英语 日语
日语 法语
法语 德语
德语 西班牙语
西班牙语 意大利语
意大利语 阿拉伯语
阿拉伯语 葡萄牙语
葡萄牙语 越南语
越南语 俄语
俄语 芬兰语
芬兰语 泰语
泰语 丹麦语
丹麦语 对外汉语
对外汉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