作者:贺知章
碧玉妆成一树高,万条垂下绿丝绦。
不知细叶谁裁出,二月春风似剪刀。

 

옥으로 단장한 듯 미끈하게 솟은 나무, 수만 가닥 드리운 푸른 비단실.
가느다란 저 잎사귀 누가 재단했을까. 가위와도 흡사한 2월 봄바람!
(碧玉장成一樹高, 萬條垂下綠絲조. 不知細葉誰裁出, 二月春風似剪刀.)
―‘버들의 노래(영류·詠柳)’ 하지장(賀知章·659∼744)
훤칠한 미녀의 형상으로 우뚝 선 버드나무. 줄줄이 드리워진 실버들의 야리야리한 가지 사이로 봄바람이 헤집고 들어온다. 바람의 자취 따라 가위로 마름질한 듯 파르라니 버들 이파리가 돋아난다. 자연의 손길에 감탄하는 시인의 목소리를 듣노라면 버들잎의 파릇파릇한 떨림에 절로 탄성이 우러나는 봄바람의 영묘한 솜씨! 새 생명의 고운 자태를 빚어내는 봄바람의 경이 속에 새봄의 생기가 새록새록 피어난다. 바야흐로 봄꽃보다 한발 앞선 싱그러운 봄의 향연이 막을 올리고 있다.
동심 어린 시선으로 자잘한 일상을 그리는 데 뛰어났던 하지장은 소탈한 성품에 술을 무척 즐겼다. 불쑥 낯선 별장을 찾아가서는 ‘주인과 일면식도 없으면서, 마주 앉은 건 숲과 샘이 좋았기 때문’이라 할 정도로 자유분방했다. 그런 그가 호방한 기질의 이백과 만나 의기투합한 건 너무나 당연한 노릇. 첫 대면의 자리에서 이백의 시와 기질에 매료되어 이백을 ‘적선’(謫仙·하늘에서 쫓겨난 신선)이라 부를 만큼 가까워졌다. 어쩌면 하지장은 본인의 시적 성취보다는 이백의 시재와 진가를 누구보다 먼저 평가해 준 것으로 더 유명하다. 그날 수중에 돈이 없어 하지장이 고관의 표지인 금구(金龜·금장식 거북)를 저당 잡히고 술을 마셨다는 호쾌한 미담도 전해진다. 그의 애주가로서의 면모를 두보는 이렇게 묘사했다. ‘술 취해 말을 탄 하지장은 배라도 탄 듯 흔들흔들./시야 흐려져 우물에 빠지고도 바닥에서 그대로 잠들어버렸지.’(‘음주에 빠진 여덟 신선’)
 英语
英语 日语
日语 法语
法语 德语
德语 西班牙语
西班牙语 意大利语
意大利语 阿拉伯语
阿拉伯语 葡萄牙语
葡萄牙语 越南语
越南语 俄语
俄语 芬兰语
芬兰语 泰语
泰语 丹麦语
丹麦语 对外汉语
对外汉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