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白 〔唐代〕
右军本清真,潇洒出风尘。
山阴过羽客,爱此好鹅宾。(过 一作:遇)
扫素写道经,笔精妙入神。
书罢笼鹅去,何曾别主人。
 
 
 
 
 
 
 
 
 
 
 
 
 
 
왕우군은 원래 맑고 진솔한 사람, 속세를 벗어난 듯 소탈하고 대범했지.
산음 땅에서 만난 어느 도사가, 거위 좋아하는 이분을 몹시도 반겨주었지.
흰 비단에 일필휘지 ‘도덕경’을 써내려가니, 정교하고 오묘한 그 필체는 입신의 경지.
글씨 써주고 얻은 거위를 조롱에 담아 떠날 때, 주인과는 작별인사조차 하지 못했지.
(右軍本淸眞, 瀟灑出風塵. 山陰遇羽客, 愛此好鵝賓. 掃素寫道經, 筆精妙入神. 書罷籠鵝去, 何曾別主人.)
―‘왕우군(王右軍)’·이백(李白·701∼762)
왕우군은 곧 왕희지(王羲之), ‘춘향전’에서 이도령이 과거시험 치를 때 ‘왕희지 필법으로 조맹부체를 받아 일필휘지’했다고 묘사한 그 명필이다. 생전의 직함 우군장군(右軍將軍)에서 따온 호칭이다. 그는 거위를 무척 좋아했는데 희고 깨끗한 깃털을 고결한 선비의 표상으로 여겼다고도 하고, 또 거위의 몸놀림에서 서예의 운필(運筆) 기교를 익힐 수 있었다고도 하는데 정확한 내막은 알 수 없다.
왕희지는 한 도사가 거위를 기른다는 소릴 듣고 그걸 사려고 찾아갔다. 도사가 ‘도덕경’을 써주면 거위를 거저 주겠노라고 하자 그는 흔쾌히 응했다. 거위를 얻은 그의 달뜬 마음을 시인은 ‘주인과는 작별인사조차 하지 못한’ 채 자리를 떴으리라 상상한다.
왕희지의 이 거위 사랑은 정사인 ‘진서(晉書)’에 기록되어 있는데 이백의 시가 나오면서 더 널리 알려졌다. 이 글씨를 두고 시인은 ‘정교하고 오묘한 그 필체는 입신의 경지’라 극찬할 만큼 서성(書聖) 왕희지에 매료된 듯하다.
왕희지가 머물던 곳곳에 이른바 ‘묵지’(墨池·먹물 빛 연못)가 전설처럼 남아 있다. 서예를 연마하면서 붓과 벼루를 씻느라 못물이 시커멓게 변할 정도였다는 것이다. 수백 년 후 당 류언사(劉言史)는 ‘지금도 못물엔 남은 먹물이 배어 있어, 여느 샘물과는 빛깔이 다르다네’라 과장하기도 했다.
 英语
英语 日语
日语 法语
法语 德语
德语 西班牙语
西班牙语 意大利语
意大利语 阿拉伯语
阿拉伯语 葡萄牙语
葡萄牙语 越南语
越南语 俄语
俄语 芬兰语
芬兰语 泰语
泰语 丹麦语
丹麦语 对外汉语
对外汉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