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과 계수나무를 품은 채 아득히 멀리서도 맑은 기운 그득하지.
갓 돋아오를 때나 이지러질 즈음이면 공연히 슬퍼들 하지만,
둥글 때라고 꼭 우리에게 정감을 갖는 건 아니라네.
(過水穿樓觸處明, 藏人帶樹遠含淸. 初生欲缺虛惆愴, 未必圓時即有情.)
―‘달(월·月)’ 이상은(李商隱·812∼858)
물 위든 누각이든 그 손길이 닿은 곳이라면 어디든 온통 환하게 빛나는 오묘한 달빛 세례. 그에 더하여 달 속에는 선녀 항아(姮娥)가 숨어 있고 계수나무가 자라고 있다. 아득히 먼 곳에서 맑디맑은 기운을 보내니 그 신비감은 더한층 고조된다. 하나 달은 홀로 오연(傲然)히 무한의 세월을 지나왔을 뿐, 인간 세상과는 무연(無緣)하다고 시인은 말한다. 초승달이나 이지러진 하현달이 풍만함을 잃었노라 슬퍼하는 인간을 시인은 냉소한다. 얼토당토않은 감정이입이라 치부한다. ‘둥글 때라고 꼭 우리에게 정감을 갖는 건 아니라네.’ 이 한마디에 인간의 가여운 짝사랑은 여지없이 허물어진다.
한데 인류는 달의 형형(熒熒)한 빛, 변화하는 형상과 오래도록 교감을 나눈 터. ‘촛불 끄니 그 더욱 눈 부신 달빛, 어느새 옷에도 촉촉이 젖는 이슬./달빛 두 손 가득 못 드릴 바엔, 꿈에서나 만나랴 잠들어 보리(장구령·張九齡, ‘달 보며 그리는 임’)라 했고, ‘반달은 왠지 아쉽고 그믐달이면 괜스레 서럽고 보름달이면 사람들이 마구 그리워진다’(한석산, ‘가슴에 달그림자 하나 키우며 산다’)라고도 했다.
英语
日语
法语
德语
西班牙语
意大利语
阿拉伯语
葡萄牙语
越南语
俄语
芬兰语
泰语
丹麦语
对外汉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