遇 : 만날 우, 事 : 일 사, 生 : 날 생, 風 : 바람 풍
풀이
일 또는 바람을 만난다는 뜻으로, 본래는 젊은 기백과 정의감을 말하는 것이었으나, 차츰 변질되어 시비하기를 좋아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 되었다.
유래
한(漢)나라 때 유주(幽州) 탁군(涿郡) 출신인 조광한(趙廣漢)이란 사람이 있었다. 처음에는 보잘것 없는 미관말직으로 벼슬살이를 시작했으나, 청렴결백한 성품과 근면성실한 일처리로 윗사람의 인정을 받아 차츰 승진하게 되었다. 그 조광한이 지금의 경조윤(京兆尹)으로 있을 때 일이다.
마침 8대 황제인 소제(昭帝)가 세상을 떠나 서울에서 가까운 풍현(豊縣)에 묻혔는데, 두건(杜建)이란 자가 황릉의 관리를 맡게 되었다. 그런데 이 두건이 자기 직위와 후원 세력을 믿고 방자하기 이를 데 없이 굴어 백성들의 원성이 높았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조광한은 직속 상관으로서 두건을 불러 엄중한 경고를 했다.
“관용은 이번 한번으로 족하다. 다시금 비리 사실이 내 귀에 들어올 시에는 살아남지 못할 줄 알라. 명심해야 할 것이다.”
그렇지만 두건은 속으로 코웃음쳤다. 자기 뒤에는 경조윤 정도로는 비교도 안 되는 고관대작의 배경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경고를 무시하고 여전히 비위를 저지르자, 조광한은 두건을 가차없이 잡아다 가두었다. 이 사실을 안 서울의 세도가들이 두건을 석방하라고 압력을 가했지만, 조광한은 한술 더 떠서 두건을 참형에 처하고 말았다.
사람들은 그 단호한 조치에 깜짝 놀랐다. 그렇지만 조광한이 자기 직위의 권한으로 국법에 의해 조치한 일인데다 계속 떠들어 봐야 ‘사후약방문’ 격에 지나지 않으므로 두건의 후원자들도 입을 다물어 버리고 말았다. 그 일로 인하여 조광한의 이름은 더욱 높아졌고, 모두들 그를 두려워하게 되었다.
그런 조광한에 대해 『한서(漢書)』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일을 보면 바람이 일어' 회피하는 바가 없었다.”
英语
日语
法语
德语
西班牙语
意大利语
阿拉伯语
葡萄牙语
越南语
俄语
芬兰语
泰语
丹麦语
对外汉语
